동양이든 서양이든 고대문학에서 등장하는 영웅담,
특히 아버지가 신으로 묘사된 부분을 난 여성폭력의 이야기로 읽는다.
아버지가 신이었다는 말은 결국 아버지가 누군지 모른다는 말과 같다.
그렇다면 여성이 폭력을 당해 태어난 아이가 특출한 능력으로
그 사회에서 인정받은 사람이 되어 후대에 이름을 남긴 것이다.
그러고 보면 동양이든 서양이든 여성폭력에 대한 뿌리는 정말 깊다.
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책들을 또 다시 읽고 나니 새롭게 보이는 부분이다.
'그늘에 앉은 책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명론 혹은 제목은 독자를 헷갈리게 (0) | 2017.02.26 |
---|---|
명예. 정의, 자유 그리고 변화 (0) | 2016.04.28 |
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의 제목 속에 나타난 일본 식민지배의 잔재 (0) | 2015.10.25 |
사심 없이 준다는 것(증여), 자본주의를 파괴하는 한 방법 (0) | 2015.05.23 |
나도 조화 따위는 거부할 테다... (0) | 2015.05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