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쟈크 데리다

여저히 이해하지 못한 두 학자, 가다머와 데리다 학부 시절 내 머리를 온통 꽉 채웠던 네 명의 학자가 있었는데 ‘푸코’, ‘가다머’, ‘하버마스’, ‘데리다’였다. 욕을 바가지로 먹을 이야기이지만 푸코와 하버마스는 대충 뭐라도 잡히는 것 같았는데, 가다머와 데리다는 정말 뭔 말을 하는지 몰랐다. 뭐 지금도 나아진 건 없다. 어쩌면 그래서 푸코와 하버마스에 더 매달렸던 것 같다. 다 이해는 못해도 손에 잡히는 건 있는 것 같은 착각은 들었으니 말이다. 정말 착각이었다. 푸코를 이해하기 위해선 맑스 할배와 니체를 기본으로 깔고 시작하는데 이게 되겠나. 하버마스는 또 어떤가. 맑스, 프로이트, 거기다 하버마스의 명성을 알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책이자 박사학위 논문에서 2/3 가량을 욕으로 가득 채웠던 막스 베버를 모르면 이해도 안 되는 이야기다. 그런.. 더보기
사심 없이 준다는 것(증여), 자본주의를 파괴하는 한 방법 지난 20세기 중반 이후 프랑스 학문계를 풍미했던 여러 사상들의 밑바닥에 는 ‘증여 해석’의 문제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공통된 관심사가 자리 잡고 있었다. 마르셀 모스(Marcel Mauss)가 『증여론』에서 개시한 증여의 복합적 형태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 이래, 바타이유(George Bataille), 레비-스트로스(Claude Lévi-Strauss), 르포르(Claude Lefort), 데리다(Jacque Derrida)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이 이 문제와 씨름했다. 이들 각자는 증여 행위의 인류학적 근거와 궁극적인 모티프를 찾아냈다고 확신하고 있었다.바타이유는 축적 지향의 경제관을 뿌리째 뒤흔들어 놓을 ‘파괴적인 소모’의 열정에서 증여의 본질을 보았다.레비-스트로스는 증여의 모든 역사적 체험을 구.. 더보기
『Derrida. A Biography』 - Benoît Peeters, 학자로 산다는 것... 1996년, 뉴욕에서 개최되었던 한 학회(Conference)에서 쟈크 데리다(Jacques Derrida) 슨상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셨단다. “As you know, traditional philosophy excludes biography, it considers biography as something external to philosophy. You’ll remember Heidegger’s reference to Aristotle: ‘What was Aristotle’s life?’ Well, the answer lay in a single sentence: ‘He was born, he thought, he died.’ And all the rest is pure anecdote.”- Beno.. 더보기